주식차트분석기법 이동평균선 소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차트 분석에서 필수적인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적인 개념이지만 오늘도 하나씩 배워서 주린이에서 주른이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아래 글에서는 이동 평균선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한 내용이며, 존경하는 친절한 재승씨 유튜버님의 강의글을 요약하고 정리해 본 것이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 개념
주식차트를 보면 여러 가지 선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선이 바로 이동 평균선입니다.
이동 평균선이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하여 점을 찍고 그 점을 이어서 만든 선입니다. 보통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부르며,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등 다양한 기간의 이평선이 있습니다. 이평선은 주가의 흐름과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초록색 선은 5일 이평선, 노란색 선은 20일 이평선, 빨간색 선은 60일 이평선, 보라색 선은 120일 이평선을 나타냅니다. 아래와 같이 주식사이트의 분석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을 추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삼성전자 이동평균선 그래프를 예시로 가져왔어요.
이평선은 왜 필요할까요? 주가는 매일매일 변동하며 오르락내리락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하루하루의 주가만 보면 흐름과 추세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평선을 사용하면 주가의 변동을 평활화하여 흐름과 추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평선 보는 방법 - 중요 개념
- 이평선이 상승하고 있으면 주가도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 반대로 이평선이 하락하고 있으면 주가도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보다 위에 있으면 강세 시장입니다. 반대로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보다 아래에 있으면 약세 시장입니다. -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하면 골든크로스라고 하며, 주가의 상승세 전환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하며, 주가의 하락세 전환을 의미합니다.
- 주가가 이평선 위에 있으면 지지선으로 작용하며, 주가가 이평선 아래에 있으면 저항선으로 작용합니다.
이동평균선은 기간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기간이 짧은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기간이 긴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변화에 둔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기간이 짧은 이동평균선은 단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하고, 기간이 긴 이동평균선은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은 매우 빨리 움직이는 반면, 200일 이동평균선은 매우 천천히 움직입니다. 그러나 기간이 짧은 이동평균선은 잡음에도 쉽게 영향을 받아 실제 흐름과 다른 신호를 줄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이동평균선을 함께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
- 단순 이동평균선(Simple Moving Average, SMA):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모두 더한 후 그 기간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5일 단순 이동평균선은 5일간의 종가를 모두 더한 후 5로 나눈 값입니다. 단순 이동평균선은 가장 기본적이고 평균적인 값을 나타내며, 주가의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하지만 단순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변화에 늦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주가의 움직임을 캐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기중 이동평균선(Weighted Moving Average, WMA):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5일 기중 이동평균선은 5일간의 종가에 각각 1, 2, 3, 4, 5의 가중치를 곱한 후 모두 더한 값을 15로 나눈 값입니다. 기중 이동평균선은 최근의 주가에 더 많은 비중을 두므로, 단순 이동평균선보다 주가의 변화에 빨리 반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중 이동평균선은 가중치를 어떻게 부여할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가중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수 이동평균선(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에 지수함수를 적용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5일 지수 이동평균선은 오늘의 종가에 2/(5+1)의 가중치를 곱하고, 어제의 지수 이동평균선에 (1-2/(5+1))의 가중치를 곱한 후 두 값을 더한 값입니다. 지수 이동평균선은 최근의 주가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과거로 갈수록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지수 이동평균선은 기중 이동평균선보다도 주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외에, 이평선의 개념을 거래량에 적용해볼 수 도 있습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거래량 분석이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보통 5일, 20일, 60일, 120일 이평선을 사용하고 주봉에도 활용이 가능하나 월봉에는 대체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보통 5일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를 고려해볼만 합니다.
단,중,장기 거래량 평균을 넘어서는 거래량이 지속될 때 중기적인 상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합니다.
5일 거래량 이동평균선 = 5일간의 거래량 합계 / 5일 (거래 일수)
이렇게 이평선을 통해 주가의 흐름과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평선은 과거의 주가를 반영하는 후행적인 지표이므로,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데만 의존하면 안 됩니다. 다른 보조지표나 기본적인 분석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이동평균선의 종류와 설명을 마칩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들에게 유용한 주식차트용어 캔들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3.07.19 |
---|---|
주식차트분석이 꼭 필요한 이유. 주식투자 수익률 높이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할 주식 투자 이론. (친절한 재승씨의 처음배우는 주식차트) (0) | 2023.07.09 |
[주식차트분석] 추세 분석을 통한 강한 종목, 추세이탈 시 리스크 최소화하는 법 (0) | 2023.07.07 |
주식 초보를 위한 강의 친절한재승씨 (0) | 2023.07.02 |
[주식차트분석] 추세전환 신호에 따른 매수매도 (2탄)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