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미국채권투자 ETF 종류 TLT, TMF 등

은퇴개미 2023. 4. 11. 06:25

미국채권투자 ETF 소개

지난 시간에는 미국 금리 인하소식에 따라 미국채권 투자에 관심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 이유에 대한 설명과 미국채권에 투자하는 방법 (직접투자/간접투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봤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간접투자 방법인 채권 ETF 투자, 그중에서 어떤 대표 채권 ETF가 있는지 소개해보겠습니다. 간단한 설명과 장단점을 적어보겠습니다.

채권투자로 돈 이만큼 벌고 싶어요

미국채권투자 ETF / 미국채권ETF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

TLT는 미국 장기 국채 ETF 중 대표적인 상품 중 하나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함께 TMF (3배 레버리지 상품)와 같이 가장 주목받는 ETF입니다. TMF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TLT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TLT는 미국 국채 중 20년 이상 만기의 장기 국채를 추적하는 ETF입니다. 이 기간 동안의 이자율 변화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금리가 하락할 때 수익이 나기 때문에, 대표적인 금리인하 시기에 추천되는 투자상품 중 하나입니다. TLT의 경우, 20년 이상의 장기 국채를 포함하고 있어서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자산 배분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시장에서 대규모의 금리 하락이 예상될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투자 상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TLT 역시 시장 변동성이 크게 높아지거나 금리가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수익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장점 :국채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간주되며, TLT는 미국 장기 국채에 직접 투자하므로 안정성이 높습니다. 미국 국채는 금리 수준과 경제 전망에 따라 수익성이 달라집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국채 가격이 상승하여 TLT 투자자에게 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TLT는 주식, 부동산, 채권 등 다른 자산 클래스와 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는 투자 도구입니다. 

단점 : 미국 장기 국채의 가격은 이자율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만약 이자율이 상승한다면, TLT 투자자는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은 국채 수익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을 경우, TLT 투자자는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의 증가에 대한 리스크를 갖게 됩니다.

주의사항 : 투자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만 보통 TLT는 안정적인 자산으로 간주되므로, 투자목적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TLT 역시 시장 변동성이 크게 높아지거나 금리가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수익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을 경우, TLT 투자자는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의 증가에 대한 리스크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수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투자 시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충분한 자문과 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iShares Core U.S. Aggregate Bond ETF (AGG)

AGG는 미국 채권 시장의 전반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ETF입니다. 미국 정부채, 회사채, 주택담보채 등 다양한 종류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점: 전반적인 미국 채권 시장을 대표하는 ETF로서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이 높고,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단점: 미국 채권 시장의 전반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채권의 수익률 상승에 따른 수익성이 높지 않습니다.

 

Vanguard Total Bond Market ETF (BND)

BND는 미국 정부채, 회사채, 주택담보채 등 미국 채권 시장 전반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AGG와 유사하지만, 채권 가격 변동성이 낮은 짧은 만기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점: 채권 가격 변동성이 낮은 짧은 만기의 채권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점: 미국 채권 시장 전반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어서, 특정 채권의 수익률 상승에 따른 수익성이 높지 않습니다

 

iShares iBoxx $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LQD)

LQD는 미국에서 가장 큰 회사채 ETF 중 하나입니다. 이 ETF는 S&P 500 지수의 구성 종목이 아닌, 투자등급 회사채 중에서 최대 지수인 iBoxx $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Index의 구성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이 ETF의 장단점과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투자등급 회사채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투자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매우 유동적인 ETF로서, 매수/매도가 용이하며 거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해당 ETF는 월별 배당금을 지급하며, 회사채 이자 수입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단점: 투자등급 회사채에 투자하므로, 해당 ETF는 채권금리와 기업신용 등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이는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회사채 이자율, 기업 신용등급 등을 주시하며, 채권시장의 변화에 대비해야 합니다.  미국 채권 시장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 해당 ETF는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하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해당 ETF는 미국 기업의 채권만 포함하므로, 다양한 국가와 산업군에 분산 투자하려는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해당 ETF는 미국 기업의 채권만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채권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는 더 넓은 범위의 ETF를 탐색해야 합니다. 

 

종합적으로,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모두 장단점이 있으며, 투자자의 선호도와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투자 전에는 자신의 투자목적과 리스크 허용도를 고려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하고, 적절한 투자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채권 ETF 레버리지 상품

TMF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TLF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ear 3x Shares)는 20년 이상 미국 국채 선물과 관련된 3배 레버리지 ETF 상품입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ETF 상품은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높을 때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고위험 상품입니다.

 

TMF는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할 때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즉, TMF는 20년 이상의 미국 국채 선물 가격이 상승할 경우 수익을 얻으며, 금리가 상승하거나 가격이 하락할 경우 손실을 입습니다. 이에 반해, TLF는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할 때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레버리지 ETF 상품은 매우 높은 위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은 단기간 내에 큰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고, 일반적인 ETF 상품과는 달리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에 충분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며, 투자 가능한 자금의 크기와 투자 목표, 위험 수준 등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나중에 레버리지 채권 ETF의 위험성과 주의사항에 대해서는 별도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